TDD를 논하기 전에 테스트가 가능한 구조로 변경 되어야 한다. 개발자라면 테스트 작성을 잘 해야한다라는 인식이 있습니다.테스트를 잘 작성하면 뭔가 멋있어 보이고 특히 TDD를 한다는 사람들을 보면마치 다른 세계의 개발자인것 마냥 신기하고 부러웠습니다. 하지만 같은 개발자로서 마냥 부러워하기만 하면 안된다는 생각에이제부터라도 테스트, TDD를 공부하려고 합니다. 지금 회사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 개인적으로 공부해야하지만또 그런맛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반년차 신입 개발자이지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았던 이유와작성해야 하는 이유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단점난이도테스트 코드는 어렵습니다.따로 공부해야할 라이브러리가 많고어디서부터 어디까지 그리고 어떻게 테스트를 해야할지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HTML/CSS가 어느정도 필요한거 같아 공부하고 기록하기 위한 글입니다. 네이버 부스트코스의 강의를 수강하며 작성하였습니다.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 부스트코스 무료 강의 www.boostcourse.org HTML HTML Tutorial W3Schools offers free online tutorials, references and exercises in all the major languages of the web. Covering popular subjects like HTML, CSS, JavaScript, Python, SQL, Java, and many, many more. www.w3schools.com 태그 태그 : , , , 컨테이너 태그 :, 리스트 태그 : , , 빈 태그..
Jpa를 사용하여 Test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도중에 아래와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딱봐도 EntityManager의 persist를 호출할때 잘못된거 같습니다. 자세히 읽어보니 현재 스레드에 사용 가능한 transaction이 없다고 합니다. 알고보니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빼먹어서 생긴 에러였습니다. Jpa는 @Transaction 단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transaction 단위에 따라 persist() 메소드를 사용해 영속성 컨텍스트에 영속화시키고 작업을 진행합니다. persist() 메소드는 영속작업을 시작한다고 선언하는 것인데 객체가 들어갔으나 가능한 transaction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저런 에러를 낸것입니다. 결론 @Transaction을 잊지 말자...